생활 정보

폐건전지 수거함 위치 조회 쉽게 하기

Maru_H 2024. 1. 15. 00:00
728x90

리모컨, 도어록, 벽시계 등에 사용되는 건전지는 사용 후에 분리수거가 필요합니다. 일반쓰레기나 재활용품 함에 버리면 안 되고, 별도로 설치된 폐건전지 수거함에 버려야 합니다. 이는 건전지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추출하기 위함입니다. 건전지의 올바른 폐기는 환경 보호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에도 좋습니다. 지정된 수거함을 활용하는 습관을 가짐으로써 우리는 작은 노력으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폐건전지 분리수거의 중요성과 그 이유
2. 폐건전지 수거함 위치 그리고 스마트서울맵
3. 스마트서울맵 사용방법

 

1. 폐건전지 분리수거의 중요성과 그 이유

우리 주변에서 사용되는 건전지는 다양한 기기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지만, 이를 폐기할 때에는 신중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폐건전지를 따로 지정된 수거함에 버리고 별도로 분리수거하는 이유는 주로 환경보호, 자원 재활용, 안전관리, 인체보호 등의 측면에서 나타납니다.

 

▶안전관리

폐건전지를 아무렇게나 버리게 되면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폐건전지에는 화학적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제대로 된 처리 없이 폐기되면 안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자원 재활용

폐건전지는 카드뮴, 수은, 납과 같은 유용한 금속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속들은 재활용을 통해 다시 추출되어 새로운 제품의 생산에 사용됩니다. 폐건전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유용한 자원을 절약하고 새로운 제품을 만들 때에 재활용된 금속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환경보호

자원 재활용에서 언급한 것 처럼 폐건전지에는 많은 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폐기 시 일반 쓰레기로 처리되면 지하수, 물, 토양 등에 노출돼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독성 물질은 환경에 해를 끼치며 동물과 인간에게도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인체보호

폐건전지를 만지거나 버릴 때 폐건전지에 구멍이 뚫려있거나 독성 물질이 새어 나와 있다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2. 폐건전지 수거함 위치 그리고 스마트서울맵

폐건전지 수거함은 잘 찾아보면 많은 곳에서 수거가 이루어집니다. 대부분 시청, 구청, 주민센터, 대형마트, 아파트, 지하철역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다 사용한 폐건전지들은 위 장소에서 손쉽게 폐건전지를 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누구나 아는 정보를 알기 위해서 인터넷 검색을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조금 더 편리하고 쉬운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의 경우, 스마트서울맵을 활용하면 폐건전지 수거함의 위치를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스마트서울맵'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스마트서울맵 사이트

 

 

3. 스마트서울맵 사용방법

스마트서울맵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시생활지도' 클릭

 

도시생활지도 목록 중 환경을 찾아 클릭

 

※참고

도시생활지도를 클릭했는데 위와 같이 나온다면 뒤로 버튼을 살며시 눌러주세요.

 

위 스크린샷처럼 많은 목록들이 보입니다.

조금만 스크롤을 내려서 확인해 보면 '폐건전지 폐형광등 분리수거함'이라는 아이콘을 찾을 수 있습니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스크린샷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지역의 폐건전지 수거함 위치를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스마트서울맵 사이트에 접속하여 '폐건진지' 입력 후 검색하세요. 

 

검색 후 위와 같이 아이콘을 바로 찾을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3.09.21 - [생활 정보] - 폐건전지 재활용이 중요한 이유

 

폐건전지 재활용이 중요한 이유

일상생활에서 건전지를 얼마나 사용하는지 생각해 본 적이 없지만 굳이 생각을 해봤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요즘은 충전식 전자기기가 많아져서 건전지를 잘 안 쓰는 것 같지만, TV 리모컨이나

grayruma.tistory.com

 

728x90